[탕산=신화/뉴시스] 중국 허베이(河北)성 탕산(唐山)에 있는 냉연강판 공장. 자료사진. 2025.08.19
[서울=뉴시스]이재준 기자 = 인도 정부가 중국산 철강제품 등 수입 급증에 대응해 보호무역 조치를 강화한다고 인베스팅 닷컴과 홍콩경제일보 등이 19일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인도 무역구제총국(DGTR)은 최근 중국을 비롯한 외국산 철강제품에 대해 앞으로 3년간 단계적으로 수입관세를 부과하라고 정부에 권고했다.
세이프가드 관세율은 첫해 12%로 시작, 둘째해 11.5%, 셋째해 11.0%로 점진적으로 낮추도록 했다.
DGTR은 해당 조치의 배경에 대해 “최근 철강 수입량이 급격하게 늘어나 국내 철강산업에 중대한 피해를 끼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DGTR은 “미국이 수입 철강에 50% 고율관세를 매기고 다른 국가들도 유사한 조치를 취하는 상황에서 전 세계 생산업체들이 재고 부담에 시달리고 있다”며 “수입관세 발동은 국내 산업이 이미 입은 피해뿐 아니라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피해의 위협에도 대응하는 조치”라고 설명했다.
이번 제안은 DGTR의 최종 권고로 인도 정부가 지난 4월 DGTR의 예비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철강제품에 대해 12% 잠정관세를 200일간 징수한데 이은 조치다.
2024년 4월에서 올해 2월까지 인도 철강제품 수입량은 직전 동기 대비 15.8% 증가한 898만t에 달했다.
이중 중국산 철강제품은 5.3% 줄어든 241만t으로 집계됐다. 한국산은 7.1% 늘어난 260만t, 일본산 경우 70% 가까이 급증한 190만t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