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한국과학AI포럼 토론회'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2025.09.16.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이재우 기자 = KT 무단 소액결제 피해가 당초 알려진 서울 서남권과 경기 일부 지역을 넘어 서울 서초·동작구,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등에서도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KT 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인증 시간 기준 소액결제 해킹 피해 지역에는 서울 서초·동작구, 고양시 일산동구가 포함됐다.
KT가 처음 피해가 발생한 시점으로 지목한 지난달 5일부터 8일까지 나흘간 서울 동작구, 관악구, 영등포구 일대에서 15명이 26차례에 걸쳐 962만원 피해를 봤다. 이어 8일과 11일 이틀에 걸쳐 서초구에서 3명이 모두 6차례에 걸쳐 227만원의 피해를 입었다.
이후 12∼13일 경기 광명시, 15일 서울 금천구, 20일 일산동구, 21일 경기 과천시에서 피해가 발생했다. 26일부터는 금천구 , 광명시 , 경기 부천시 소사구 , 인천 부평구 등에서 피해가 벌어졌다.
KT 무단 소액결제 사건이 처음 알려진 지난 4일 83건(피해액 2499만원), 5일 14건(550만원) 등 모두 100건 가량 무단 결제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나 비정상적인 결제 시도 차단 직전까지 무단 소액결제가 상당 규모 진행된 것으로 파악됐다.
앞서 KT는 국회에 4일과 5일에는 피해 건수가 없었다고 보고하고, 1차 발표에서 피해자 수를 278명으로 집계했다가 4일과 5일 피해를 포함해 362명이라고 정정했다. 피해 건수는 1 차 집계 당시 527건에서 764건으로 늘었다 .
KT 피해 현황이 자꾸 확대되는 것은 자동응답전화(ARS)에 국한해 자의적이고 소극적인 대응을 하기 때문이라고 황 의원은 지적했다. 하지만 패스 (PASS) 인증 등에 대한 해킹이 이뤄졌다는 정황도 있어 KT가 사건을 축소하려 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된다고 했다.
황 의원은 “KT 해킹 사태의 전모가 밝혀지면 밝혀질수록 KT가 거짓 변명만 늘어놓았다는 사실이 드러나고 있다”면서 “지금이라도 소액결제가 이뤄진 모든 고객에게 직접 결제 현황을 고지하고 피해 전수조사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
이어 “고의적 축소 은폐 시도를 반복한 KT에 대해서는 SK텔레콤 때보다 더 강력한 제재와 함께 피해 배상 강제가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