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뉴시스] 재판매 및 DB금지. [서울=뉴시스]임철휘 기자 = 일본 정부가 자국의 데이터와 기술을 기반으로 한 국산 인공지능(AI) 개발에 본격 착수했다. 생성형 AI 시장에서 미국과 중국 의존이 심화하면서 일본 기업 데이터 유출 등 안보 차원에서 독자 개발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18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보통신연구기구(NICT)는 약 20년간 축적한 일본어 데이터를 AI 기업 프리퍼드 네트웍스에 제공한다. 양측은 일본의 문화·관습·제도에 대해 신뢰성 높은 답변을 내놓는 AI를 공동 개발할 예정이다.
개발된 AI는 IT 기업 사쿠라인터넷이 일본 내 데이터센터를 통해 제공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일본 정부는 고품질 일본어 데이터 정비, 우수 기술 인재 확보, 개발 인프라 지원 등에서 총무성과 경제산업성을 중심으로 자금 지원에 나선다.
자국산 AI는 정부, 지방자치단체, 기업에서 폭넓게 활용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데이터 학습·언어모델 개발·데이터 센터 운영까지 모두 일본 내 기업과 기관이 담당해 ‘국내 완결형’ 체제로 개발된다.
현재 일본 내에서는 미국과 중국산 AI 활용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그러나 해외산은 학습 데이터 출처와 과정이 불투명해 “일본으로서는 용납할 수 없는 데이터가 학습됐을 가능성도 있다”는 우려가 꾸준히 제기돼 왔다.
실제로 중국의 생성형 AI ‘딥시크’가 일본 자민당 의원의 질문에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는 중국 고유의 영토”라고 답변해 논란이 일었던 사례도 있다.
일본 정부는 이러한 해외 의존이 국가 안보에도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고 보고 일본의 문화와 역사적 맥락을 반영한 신뢰성 높은 AI 개발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요미우리는 전했다.
다만 AI 개발에는 대규모 데이터와 연산 능력, 전문 인력이 필수적이어서 미·중이 이미 크게 앞서 있는 상황이다.
글로벌 AI 벤치마크인 ‘아티피셜 애널리시스 인텔리전스 인덱스’에서도 미국 오픈AI와 중국 알리바바 계열 기업들이 상위를 독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