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쌀 가격은 평년보다 높은 수준이고 배추는 작황이 부진해 추가 가격 상승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망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폭염과 폭우에 대비해 농축산물에 대한 수급 관리를 강화한다.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통계청 7월 소비자물가지수를 조사한 결과 농축산물은 1년 전과 비교해 1.4% 상승(전월 대비 1.9%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 안정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6일 밝혔다. 그러나 최근 폭염과 폭우가 반복되면서 농축산물 생육 부진이 심화되고 있어 이날 오후 ‘농식품 수급상황 확대 점검회의’를 개최해 산지 및 소비지 동향, 향후 수급안정방안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농식품부와 농협경제지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육류수출유통협회, 도매시장법인, 대형마트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쌀 가격 평년보다 높은 수준…할인행사 추진, 작황 부진한 배추는 추가 가격 상승 가능성주요 품목의 산지동향을 점검한 결과 쌀은 지난해 수확기에 벼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 일부 산지 유통업체가 원료곡 확보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전·평년보다 다소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에 농식품부는 소비자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8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대형 마트 등에서 쌀 20kg 구매 시 3천원 할인행사를 추진하며 행사기간은 산지 쌀값 동향에 따라 조정할 계획이다. 배추는 폭염 등으로 작황 부진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추석 전인 9월에 출하하는 물량은 늘어난 반면 8월에 출하하는 물량은 재배면적이 감소하고 작황도 부진해 추가 가격 상승 가능성이 있다. 다만 산지유통인, 김치업체 등이 봄배추 저장량을 지난해보다 5% 늘려 가격 상승 폭은 제한적일 전망이다.한우 등심, 소비쿠폰 지급으로 수요 증가해 가격 상승…닭고기, 공급량 많아 안정연합뉴스한우의 경우 공급량은 평년보다는 증가했지만 지난해보다는 감소해 가격도 평년보다는 낮고 지난해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특히 소비쿠폰 지급으로 수요가 증가한 등심은 가격이 상승세인 반면 설도·양지 등은 오히려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농식품부는 수요 증가에 대비 농협 물량 등을 활용해 공급량을 평상시보다 30% 이상 확대하고 자조금을 활용한 할인 행사도 추진해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에 따른 내수경제 활성화를 뒷받침할 계획이다. 돼지고기는 폭염과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7.16) 등으로 가격이 소폭 상승했지만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삼겹살과 목살 재고량이 지난해보다 많아 수급 상황은 안정적이다. 닭고기는 폭염과 폭우 피해에도 공급량이 지난해 보다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으로 수입이 중단됐던 브라질산 닭고기 수입도 재개돼 8월 중순부터 국내에 도착할 예정이어서 시장이 빠르게 안정될 전망이다. 계란은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가격도 안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산란계 농가는 오는 9월부터 적용되는 케이지 사육면적 확대에 대응해 연초부터 산란계 입식량을 늘려왔다. 이때 입식된 산란계가 본격적으로 계란 생산을 시작하는 9월 이후에는 가격 하락 폭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상추·시금치·열무는 고온이 지속되는 경우 생육이 급격히 부진해져 가격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지만 지난해에 비해 올해는 수해로 인한 침수 등 피해가 크지 않고 생육기간이 30일 안팎으로 짧아 앞으로 기상 여건이 나아지면 작황도 빠르게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조생종 사과의 경우 폭염과 성장기(5~6월) 강수량 부족 등으로 생육이 지연돼 8월 출하 물량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전체 사과 생산량은 전·평년 수준을 보이면서 추석 등 성수기에는 안정적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이날 회의를 주재한 농식품부 김종구 식량정책실장은 “폭염과 폭우 등 불리한 기상 여건에도 농축산물의 수급 상황이 급변하지 않도록 산지부터 소비지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관리를 강화하겠다”며 “생산자단체와 유통업체에서도 국민 먹거리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정부의 수급 관리 노력에 동참해 민간에서 보유(저장)하고 있는 농축산물이 시장에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협조해 달라”고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