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 내부 모습. 농촌진흥청 제공정부가 일상화된 기후 위기에 대응해 식량안보를 강화하기 위해 농업과 수산업에 인공지능(AI) 기반의 스마트 기술을 활용하는 정책으로 대전환한다.
22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새정부 경제성정전략’ 등에 따르면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오는 2026년 상반기 스마트 농업육성지구 1곳을 혁신 선도지구로 선정할 예정이다. 농식품부는 지난 1월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농산업 혁신생태계 조성을 위해 제1차 스마트농업 육성 기본계획을 발표하는 등 스마트농업 확산에 주력하고 있다. △스마트농업 클러스터 조성 △스마트팜 전문교육기관 확대를 비롯한 전문인력 양성 △노지 스마트농업 개술개발 프로젝트 등 연구개발 확대 △연관 산업 경쟁력 강화를 중점 추진한다. 해양수산부(이하 해수부)도 양식업을 스마트산업으로 전환하고 있다. 올해 하반기에 스마트 양식단지 1곳을 혁신 선도지구로 선정한다. 이들 스마트 혁신 선도지구에서는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밀 생육·사육 관리 파일럿 프로젝트가 실시되고 플랫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연관 산업시설의 집적화도 이뤄진다. 스마트 양식장 조감도. 해양수산부 제공
해수부는 스마트양식 클러스터를 확대하고 스마트 가두리 양식장도 2곳을 보급하는 등 스마트 인프라를 늘려 나갈 계획이다. 정부는 전문연구단을 구성해 AI를 활용한 스마트 농업·수산업 모델 설계를 지원·보급하고 AI 전환(AX) 기반 농작업과 양식 기술 등을 개발해 확산시킨다는 구상이다. 원예를 중심으로 한 국내 스마트 농업 도입률(2024년 기준)은 16.2%이며 스마트 수산업 도입률은 2.5%에 불과하다. 정부는 오는 2030년까지 스마트 농업 도입률을 35%로, 스마트 수산업 도입률을 10%로 각각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스마트농산업을 비전으로 오는 2030년까지 기후 민감도가 높은 밭작물과 과일 주산지 면적 20%, 약 5만 5천ha 온실의 35%를 스마트팜으로 전환해 나갈 예정이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