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7일 정부세종청사 농식품부 대회의실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정례 간담회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한미 관세협상과 관련해 “농산물 검역절차 간소화는 불가능하지만 앞으로 계속될 미국의 압박에 대비해 농업 경쟁력 확보 등 준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송 장관은 7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최근 대미 관세협상 이후 논란이 되고 있는 ‘농산물 검역절차 개선’과 관련해 이같이 밝혔다.송 장관은 농산물 검역절차는 국제적인 약속으로 검역절차 간소화는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다시 확인했다. 현재 외국산 농산물을 수입하기 위해서는 8단계로 구성된 수입위험분석(IRA)을 통과해야 한다. 농산물 수입에 따른 병해충 유입 가능성과 예상되는 피해, 관리 방안 등을 마련하는 절차다.송 장관은 “검역 절차를 개선한다는 표현은 소통을 강화하자는 의미”라면서 지금보다는 검역절차가 빨라질 가능성에 대해서도 “단정할 순 없다”며 일부에서 우려하고 있는 검역절차 속도내기에 선을 그었다.검역본부에 미국을 전담하는 ‘US 데스크’를 마련하는 것과 관련해서는 검역본부가 업무를 대륙별로 맡고 있는데 앞으로는 미국 전담 담당관을 둔다는 의미다. 송 장관은 “콘택트 포인트를 분명하게 하는 것”이라며 “이외에도 인공지능(AI)을 활용해 과학적 역량을 정밀하게 제고하는 등 필요한 부분을 개선할 것”이라고 밝혔다.미국에서 검역과 관련해 구체적으로 언급한 품목이 있느냐는 질의에는 “아직 품목 우선순위에 대해 얘기가 나온 건 없다”고 말했다.송 장관은 이번 협상에선 쌀·소고기 등 예민한 품목의 추가 개방은 막았지만 앞으로 개방 압력이 반복될 수 있는 만큼 사전에 국내 농업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송 장관은 “농업계와 충분히 소통해 경쟁력을 어떻게 갖출지 고민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