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문화재단 빈집 프로젝트 공간전경, 기록장 외부. 사진 춘천문화재단 *재판매 및 DB 금지[서울=뉴시스] 김종민 기자 = 지방의 인구 감소와 노령화가 가속화되면서 지역 소멸이라는 위기가 현실로 다가왔다. 특히 젊은 층의 이탈로 활력을 잃어가는 지방 도시에서는 텅 빈 집들이 늘고 있다. 이에 각 지방자치단체는 부동산을 단순한 거주 공간이 아닌, 지역을 살리는 핵심 열쇠로 인식하고 다양한 특화 주택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빈집’의 화려한 변신, 새로운 커뮤니티 거점으로가장 주목받는 프로젝트는 빈집 활용 사업이다. 방치된 노후 주택을 매입하거나 장기 임차해 젊은이들이 귀농·귀촌할 수 있는 ‘맞춤형 주거 공간’으로 탈바꿈시키고 있다. 경북 봉화군은 ‘봉화 빈집 활용 프로젝트’를 통해 오래된 집들을 리모델링해 저렴한 비용으로 청년 농업인이나 예술가들에게 제공하며 새로운 활력소를 불어넣고 있다. 이는 건축물의 외형만 바꾸는 것이 아니라 지역 공동체에 새로운 문화를 불어넣는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청년을 위한 주택, 그리고 일자리지역에 정착할 의지가 있는 청년층을 위해 ‘저렴한 임대료’의 주택을 공급하는 정책도 활발하다. 전라북도 완주군은 ‘청년 주택’을 건설해 귀농·귀촌을 희망하는 청년들에게 공급하고, 인근에 공유 오피스나 창업 지원 시설을 함께 조성하는 등 주거와 일자리를 결합한 모델을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단순히 주택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 청년들이 안정적으로 뿌리내릴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둔다.
‘지역 특화 주택’의 등장최근에는 지역의 특색을 살린 ‘워케이션(일+휴가)’ 개념을 도입한 주택 개발로 이목을 끌고 있다. 강원도 속초시는 해안가에 특색 있는 소형 주택을 짓거나 기존 건물을 리모델링해 관광객과 디지털 노마드 등 한 달 살기 수요를 동시에 잡으려는 시도가 활발하다. 이러한 주택들은 일과 휴식을 병행하는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며 특정 직업군을 유치하는 데 효과를 보이고 있다.
물론 이러한 프로젝트가 지방 소멸의 근본적인 해법이 될 수는 없다. 지속 가능한 일자리 창출과 교육, 의료 등 정주 여건 개선이 수반되지 않으면 한계에 부딪힐 수밖에 없다. 그러나 방치된 부동산을 활용해 지역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이러한 노력들은 지방이 다시 ‘살고 싶은 공간’으로 변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