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이재준 기자 = 중국 당국이 최근 급등세를 보인 증시의 과열을 진정시키기 위해 투기적 거래를 억제하는 조치를 취할 방침이라고 재신쾌보(財訊快報), 자유시보(自由時報), 비즈니스 타임스가 4일 보도했다.
매체는 관련 사정에 밝은 소식통과 외신을 인용해 중국 금융당국이 지난 몇 주간 증시 안정화 방안을 집중 논의했으며 이중에는 공매도 일부 제한 해제, 과도한 투기 거래 규제 등이 포함됐다고 전했다.
중국 증시는 8월 초부터 10년 만에 최고치를 연일 경신하면서 약 시가총액이 1조2000억 달러(약 1671조7200억원)나 팽창했다.
증시는 지난 4월 이래 빠르게 반등하며 주요 지수가 20% 넘게 뛰었다. 상하이 종합지수는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고 CSI 300 지수 경우 올해 저점 대비 20% 이상 급등했다.
당국은 이런 추세가 2015년 증시 급등 후 일어난 폭락 사태를 연상케 하는 점을 우려해 서둘러 대책 마련에 나섰다고 소식통은 밝혔다.
증권 당국은 시장의 급격한 변동성이 개인 투자자에게 엄청한 손실을 안길 수 있다는 사실을 걱정하고 있다.
특히 중국 정부는 9·3 항일전쟁 승전 기념 열병식 등 국가적 행사를 전후로 자본시장 안정 유지에 각별한 신경을 쓰고 있다.
앞서 중국 증권감독관리위원회(증감회)의 우칭(吳清) 주석은 8월 말 열린 좌담회에서 “증시의 회복세를 공고히 하고 장기·가치·합리적 투자를 적극 장려하겠다”며 시장 안정 의지를 피력했다.
당국은 은행권에도 주식시장으로 신용자금 유입을 철저히 단속하라는 지침을 내렸다고 한다.
상당수 투자자가 소비자 대출이나 온라인 대출 등을 통해 빌린 자금을 주식 투자에 사용한 정황이 포착됐기 때문이다.
아울러 당국은 증권사에 대해선 신규 주식계좌 개설을 지나치게 유도하지 말라고 주문했다.
관련 데이터에 따르면 8월 개인 투자자 신규 계좌 수는 265만300개로 전년 동월 대비 166% 급증했다.
소셜미디어 플랫폼에도 ‘강세장’, ‘신용잔고 사상 최고치’, ‘예금에서 주식으로 자금 이동’ 등과 같은 표현을 자제하라는 지침이 내려졌다.
불법적인 종목 추천이나 시장 조작이 의심되는 콘텐츠에 대해선 강력한 제재를 가한다는 경고도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