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지난달 한국의 대미 전기차 수출이 미국 현지 생산 확대와 판매 감소의 여파로 작년 동기 대비 97%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내달 미국의 전기차 세액공제 종료가 예고된 가운데, 국내 업계에선 수출 시장을 유럽 등으로 다변화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오고 있다.24일 관세청 수출입 통계를 근거로 업계가 추정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월 한국이 미국에 수출한 전기차 신차 대수는 164대로, 지난해 같은 달(6209대) 대비 97.4% 급감했다. 이는 2021년 전기차 수출이 본격화된 이후 월간 기준 최저 수준이다.그동안 80%대 감소율을 보이던 월간 대미 수출은 지난달 처음으로 90%를 넘어서며 사실상 100%에 가까운 하락률을 기록했다. 지난해 3월 1만 3280대를 기록했던 수출량은 불과 1년 만에 그 1.2% 수준으로 추락했다.올해 1~7월 누적 대미 전기차 수출은 8443대로, 작년 동기(7만 2579대) 대비 88.4% 감소했다. 앞서 2022년과 2023년 같은 기간에는 각각 6만 5981대, 7만 2579대의 수출량을 기록한 바 있다.이 같은 급감의 배경으로는 미국 내 전기차 구매 보조금 축소에 따른 수요 위축과 함께, 현대차그룹(현대차·기아 포함)이 관세 회피를 위한 현지 생산 확대 전략을 적극 추진한 점이 지목된다. 현대차는 전기차 판매 부진으로 국내 생산라인의 휴업도 반복하고 있다.업계 관계자들은 내달부터 미국의 전기차 세액공제(최대 7500달러)가 종료될 예정인 만큼, 대미 수출 감소에 대한 대응 전략으로 수출 시장 다변화가 시급하다고 지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