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 제공국토교통부와 항공안전기술원은 ‘산불진화 특화 고중량 드론’과 ‘공항 조류대응 AI(인공지능) 드론’ 상용화 개발 사업자 선정을 완료, 개발에 착수한다고 20일 밝혔다.
국토부에 따르면 앞서 지난 5월 21일부터 7월 5일까지 진행한 공모에는 산불진화 고중량 드론 개발 14개, 공항 조류대응 AI 드론 개발 8개, 총 22개 컨소시엄(119개 기업)이 참여했다.평가 결과 산불진화 드론 개발에는 엔젤럭스 컨소시엄, 조류대응 드론 개발에는 엔에이치네트웍스 컨소시엄이 각각 선정됐다고 국토부는 전했다.㈜엔젤럭스가 대표사업자인 산불진화 드론 개발 컨소시엄엔 ㈜모빌리티랩, ㈜지티에이에어로스페이스, 에스아이오티(주), 한국세라믹기술원, 국립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경상국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재)경남테크노파크 총 9개 기업·기관이 참여한다.오는 2027년까지 3년간 총 115억 원 규모로 산불진화에 특화된 고중량 드론과 기체 운반 및 급수 특수 차량도 개발한다. 개발되는 드론은 최대 탑재중량 200kg, 최대이륙중량 450kg 이상이며, 소화액 등을 탑재하고 최대 3시간 비행이 가능하다.초기 화재 대응, 잔불 제거, 경계선 설정 등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 소방 임무 수행을 목표로 개발한다.
외국에서 운영 중인 유사 기체도 도입한다. 도입하는 드론은 최대 탑재중량 260kg, 최대이륙중량 650kg, 비행시간 2시간의 성능을 갖추며, 기체 개발을 위한 연구·시나리오 검증·인증 등에 활용될 예정이다.공항 조류대응 드론 개발을 맡은 엔에이치네트웍스 컨소시엄 참여사업자는 마린로보틱스(주), ㈜삼한엔지니어링, 한국광기술원, 초당대 산학협력단 등 총 5개 기업·기관이다.오는 2026년까지 2년간 약 50억 원 규모로 AI 기반 조류 탐지 및 대응 드론 시스템을 개발한다. 공항 반경 4km 이내에서 조류를 탐지하고, AI가 비행 패턴을 분석한 후 군집 드론을 통해 조류를 감지·추적·소산하는 임무를 수행한다.실증은 드론 비행시험센터(고성 등), 무안공항 등에서 진행되며, 공항 조류 대응 시스템과의 연동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국토교통부 주종완 항공정책실장은 “향후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소방청, 산림청 등 관련 기관이 참여하는 실무TF 체계를 운영해 기체 개발과 현장 실증을 함께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