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2분기 기업특성별 무역통계(잠정). 통계청 제공올해 2분기 미국과 중국, 일본 수출액이 전년도 같은 분기와 비교해 눈에 띄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동남아시아와 EU(유럽연합), CIS(독립국가연합) 등에 대한 수출액이 늘면서 2분기 전체 수출액은 2.1% 증가했다.
1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2분기 기업특성별 무역통계(잠정)’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수출액은 1752억 달러로 전년 동분기 대비 2.1% 증가했다. 수입액은 1543억 달러로 같은 기간과 비교해 1.7% 줄었다.전체 수출은 2.1% 증가했지만, 미국과 일본을 상대로 한 수출액은 각각 5.2%, 4.0% 줄었다. 특히 이들 국가를 상대로 한 대기업 수출액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을 상대로 한 대기업 수출액은 8.1% 감소했고, 일본은 12.0% 줄었다.통계청은 “미국은 4분기 연속 자동차 분야 내부소비재 감소가 수출액이 줄어든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이어 “일본은 석유정제품 등 광물성 원료와 같은 원자재 수출 품목이 줄어들어 수출액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한편 산업별로 수출액을 따져보면 전년 동분기 대비 도소매업은 9.3% 줄었지만, 광제조업(3.4%), 기타 산업(7.3%)에서 늘었고, 수입액은 도소매업(1.7%)과 기타 산업(2.6%)에서 증가했지만, 광제조업에서 3.8% 감소했다.기업 규모로 보면 2분기 전체 수출액은 대기업과 중견기업, 중소기업 모두 늘었다. 대기업은 0.5%, 중견기업은 3.7%, 중소기업 6.3% 증가했다. 반면 수입액은 대기업에서 원자재와 소비재에서 줄어 5.4% 줄었고, 중견기업과 중소기업은 각각 4.3%와 3.6% 늘었다.다만 수출액 상위 10대 기업의 무역집중도(37.8%)는 전년동분기대비 0.4%p 상승했다.주요 국가와 권역별로 살펴보면 2분기 수출액은 미국, 중국, 일본 등에서 줄었지만, 동남아시아, EU, CIS 등에서 늘어 전년 동분기 대비 2.1% 증가했다. 수입액은 동남아, 미국, 일본 등에서 늘었지만, 중동과 중국, EU 등에서 줄어 1.7% 감소했다. 특히 전체 수출액 2.6%가 감소한 중국은 대기업(-0.4%)과 중견기업(-11.7%) 감소가 영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