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수소 사용차 보급 현황(2025년 6월 기준). 환경부 제공 김성환 환경부장관이 24일 현대자동차 전주공장을 방문해 전기 상용차 제작·보급 현장을 살펴보고, 관계자들과 국내 생산 전기 상용차 보급 활성화 방안 등을 논의한다고 밝혔다.
현대차 전주공장은 1995년 차량 생산을 개시한 이후 2017년 첫 전기버스(일렉시티)를 출시했고, 지난해 5월 생산라인을 개선해 연간 전기 버스 생산(계획)량을 약 2.5배(1450대→3600대) 늘리는 등 전기 상용차 생산 역량을 강화해 왔다.단일 규모 세계 최대 전기 상용차 공장으로, 전기 및 내연 버스·트럭 등 총 17종의 상용차를 생산하고 있다.이번 현장방문은 2030년까지 전기·수소차 보급목표(450만대)를 차질 없이 달성하기 위한 노력 및 과제에 대해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고, 국내 생산 전기 상용차 보급의 장애 요인 및 극복 방안 등을 논의하고자 마련됐다고 환경부는 전했다.올해 6월 누적 기준으로 전기·수소차는 약 84만 5천 대가 보급됐으며, 2023년 이후 다소 둔화됐던 전기차 보급 수요는 올해 들어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환경개선 효과가 큰 전기·수소 버스는 수요 둔화 없이 지속적인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2011년부터 2025년 6월까지 국내에 보급된 전기버스 1만 2830대 가운데 국산은 59.6%, 수입산은 40.4%를 차지한다. 김성환 장관은 “전기차 산업은 국가경제를 이끌 차세대 성장동력일 뿐 아니라 수송 분야 탄소중립 실현의 견인차 역할을 한다”며 “보조금 정책 효율성을 제고하는 등 국내 생산 전기 상용차 보급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