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덕 신임 국토교통부 장관이 31일 정부세종청사 대강당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취임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이 “국민의 삶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주거정책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31일 정부세종청사 대강당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국토교통부는 민생 회복의 토대를 놓고 경제 성장과 국가 경쟁력을 이끄는 혁신의 플랫폼이 돼야 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김 장관은 “최근 부동산 시장은 6·27 대출 규제 등으로 일시적인 안정세를 보이고 있으나, 여전히 불확실성이 남아 있다”며 “주택시장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양질의 주택을 충분히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그는 신속한 공급 시스템 구축을 위해 도심 유휴 부지와 노후 공공시설 복합개발, 3기 신도시 속도 제고, 공공성을 고려한 정비 사업 활성화 등을 꼽았다.김 장관은 “주거는 삶의 질과 기회, 미래의 가능성을 담는 기반”이라며 “공공 임대의 품질을 높이고, 청년·신혼부부·고령자 등 다양한 계층의 수요에 맞는 주거 유형과 지원 방식을 정교하게 설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김 장관은 또 “균형 발전은 선택이 아니라 국가 생존의 문제”라고 강조하며 “수도권과 지방이 상생할 수 있는 5극 3특 경제·생활권을 집중 육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지역 발전의 촉매가 될 공공기관 2차 이전은 이미 시기가 늦은 만큼 최대한 신속하게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또 “주택 정책도 지방 균형 발전을 고려해 바라봐야 한다”면서 “지방은 경기 침체와 미분양이 심화하고, 서울·수도권은 집값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양극화 문제는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김 장관은 이 밖에도 지역별 고속철도·도로망 확충, 교통 약자의 이동권 보장과 소외 지역에 대한 교통 서비스 격차 해소, 새 유형의 사고 예방, 새 성장 동력 확충 등도 당부했다.김 장관은 “저성장, 수도권 집중, 지방소멸, 기후 위기, 인구구조 변화 등 거대한 전환의 시대를 맞이해 일하는 방식도 바뀌어야 한다”면서 “이제는 실질적이고 실행력 있는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사무실 안에서만 통하는 정책이 아니라 국민의 눈높이에 맞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이어야 한다”고 역설했다.그러면서 “실무자와 간부가 소통하고 책임과 권한을 나누는 수평적이고 실용적인 공직문화를 함께 만들어가자”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