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하수도 보급 추이. 환경부 제공지난해 전국 하수도 보급률이 95.6%로 전년보다 0.2%p 상승했지만 도농간 격차는 여전히 20%p 안팎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수도보급률은 총 인구수 대비 하수처리구역 내 인구수를 의미한다.
30일 환경부에 따르면 전국 하수도보급률이 지난 10년간 꾸준히 상승한 가운데, 농어촌(읍·면) 보급률도 전년보다 1%p 신장된 것으로 나타났다. 도농간 격차는 2014년 26.6%p에서 2024년 18.4%p로 개선됐으나, 여전히 큰 상황이다.환경부는 하수도 정책 수립과 관련 업무 수행 및 학술연구 등 국민 이해를 돕기 위해 매년 하수도 통계를 작성해 공개한다. 이번에 나온 ‘2024 하수도 통계’는 오는 31일부터 환경부 누리집(me.go.kr) 및 국가하수도정보시스템(hasudoinfo.or.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통계엔 하수도 보급률 외에도 다양한 정보가 담긴다.2024년 기준 전국에 설치된 하수관로의 총 길이는 17만 3717㎞, 가동 중인 공공하수처리시설은 총 4469곳, 시설용량은 2719만 7천㎥/일로 집계됐다. 이중 시설용량 500㎥/일 이상인 공공하수처리시설은 724곳(총합 2688만㎥/일)으로 대부분의 하수를 이들 시설에서 처리한다.
지난해 하수처리시설에서 연간 사용한 총 에너지량은 101만7천TOE(석유환산톤)이다. 이 중 자체 생산해 사용한 에너지량은 19만TOE로, 하수처리시설의 에너지자립률은 18.7%로 나타나 전년보다 2.2%p 증가했다. 미생물이 하수 찌꺼기를 소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화가스(메탄)를 연료로 활용해 에너지자립률을 높이고 있다는 설명이다.지난해 시설에서 처리된 하수처리수 74억 8천만 톤 중 11억 7천만 톤을 재이용했으며, 이 중 5억 2천만 톤을 세척수 등 장내용수(44%)로 이용하고 6억 5천만 톤을 하천유지용수(41%), 공업용수(12%) 등 장외용수(56%)로 재이용했다고 환경부는 전했다.평균 처리비용은 1톤당 1537.2원으로 전년 대비 3.3% 증가했다. 방류수 수질기준 강화 및 물가 상승에 따라 하수처리에 소요되는 총괄 원가가 매년 상승함에 따라 평균 처리비용도 지속 증가하는 것으로 파악된다.하수도 요금 변화 추이. 환경부 제공하수 1톤당 평균 하수도 요금은 696.2원이며 하수도 요금 현실화율은 45.3%로 전년 대비 0.6%p 상승했다. 대전광역시의 하수도 요금 현실화율이 98%로 가장 높았으며, 강원도가 22.9%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조희송 물환경정책관은 “하수도는 국민 생활과 안전에 핵심적인 기반시설”이라며 “앞으로도 하수도 통계를 바탕으로 국민에게 쾌적하고 안전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수도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