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뉴시스] 김명년 기자 = 24일 오후 인천 연수구 인천신항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트레일러가 이동하고 있다. 2025.04.24. [email protected]
[세종=뉴시스]임소현 기자 = 아시아개발은행(ADB)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가 건설경기 부진, 미국의 관세 인상 및 관련 불확실성 지속으로 0.8% 성장에 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물가 상승률은 1.9%로 예측하며 성장률과 물가 모두 지난 7월 수준을 유지했다.
ADB는 30일(현지시각) 이 같은 내용의 ‘2025년 9월 아시아 경제전망(Asian Development Outlook(ADO))’을 발표했다.
ADB는 4월 연간 전망을 공개하고 7월과 9월 각각 보충전망과 수정전망을 발표한다. 12월에는 필요 시 보충전망을 내놓기도 한다.
ADB는 이번 전망에서 한국의 올해 성장률을 7월 전망과 동일한 0.8%로 유지했다. 앞서 7월 전망 당시 건설투자 감소, 수출 둔화, 부동산시장 약세 등을 반영해 4월 전망에 비해 0.7%p 하향 조정된 바 있다.
다만 정부의 확장적 재정정책과 완화된 통화정책은 하반기 내수 회복에 기여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내년 경제성장률도 7월과 동일한 1.6%로 전망했다.
물가상승률 전망은 올해 1.9%, 내년 1.9%로 두 해 모두 지난 7월 전망 수준을 유지했다.
[서울=뉴시스] 김근수 기자 = HDC 현대산업개발과 포스코이앤씨의 용산정비창 전면 1구역 홍보관 개관 첫 날인 9일 서울 용산구 베르가모 웨딩홀에 마련된 포스코이앤씨 홍보관에 복합 주거지역단지 모형이 전시돼 있다. 2025.06.09. [email protected]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에 대한 각 기관의 전망치는 대체로 0%대를 보이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ADB와 같은 0.8%로 내다보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최근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0.9%로 0.1%포인트(p) 상향했다. 경제개발협력기구(OECD)가 1.0%로 비교적 높은 전망을 내놨다.
ADB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올해 경제성장률을 4.8%, 내년 경제성장률은 4.5%로 전망했다. 미국의 관세 인상 및 통상 불확실성이 큰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각 정부의 완화적 재정·통화 정책 시행 등이 이를 일부 상쇄할 것으로 봤다.
다만 ADB는 통상 불확실성 외에도 지정학적 긴장, 중국의 부동산 시장 침체 우려 등을 주요 하방 리스크 요인으로 지목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 물가상승률은 국제 유가 및 식료품 가격 하락 등의 영향으로 물가가 안정화될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따라 올해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7월보다 0.3%p 하향한 1.7%로 제시했고, 내년은 2.1%로 유지했다.
[서울=뉴시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8월 25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을 하고 있는 가운데 B-2 스텔스기 모형을 바라보고 있다. (사진=백악관 제공) 2025.09.02.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