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시스] 강형셕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은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발생한 화재와 관련해 27일 긴급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농식품부 소관 정보시스템에 대한 영향과 대응책을 논의했다. 농식품부 소관 시스템은 대전이 아닌 광주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 서버를 두고 있어 정상 운영 중이다. (사진 =농식품부 제공) 2025.09.27.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임하은 기자 = 농림축산식품부는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발생한 화재와 관련해 27일 긴급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농식품부 소관 정보시스템에 대한 영향과 대응책을 논의했다. 농식품부 소관 시스템은 대전이 아닌 광주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 서버를 두고 있어 정상 운영 중이다.
강형석 농식품부 차관은 이날 오후 3시 관계기관과 소관 시스템을 살피고자 긴급 상황 점검회의를 주재했다.
농식품부의 소관 사업시스템은 광주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 위치해 정상 운영 중이다. 국정자원은 대전 본원과 광주·대구센터를 합쳐 정부 업무서비스 기준 1600여개 정보시스템을 운영 중이다.
이 가운데 농식품부는 광주센터의 정보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어 이번 화재의 여파를 피해갔다.
부처의 홈페이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산물유통정보(KAMIS) 등 산하기관의 서비스에 접근이 가능하다.
다만 농식품부를 포함한 정부 내부 업무망 ‘온나라시스템’이 마비되면서 내부적인 업무에는 차질을 빚고 있다. 모바일공무원증, 공직자메일 등이 사용이 불가능한 상태로, 청사 출입 시에도 실물 공무원증을 사용해야 한다.
강 차관은 추가적인 시스템 점검과 함께 대국민 안내를 강화하며 긴장의 끈을 놓지 말아달라고 당부했다.
농식품부는 화재로 인해 시스템 접속이나 관계부처 자료 연계가 지연될 경우, 처리기한을 연장하거나 수기로 근거를 남기는 등 보완 조치를 마련해 국민 불편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아울러 행정안전부가 운영하는 행정업무시스템(포털, 메일 등) 서비스 장애 시에는 보안 USB 등 대체 수단을 적극 활용하도록 조치했다.
농식품부는 소관 행정업무시스템 상에 팝업, 안내문 등으로 상황과 대체 수단을 알리며 현장 근무자 불편을 최소화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