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25일 ‘노조법2·3조 개정’ 촉구 국회 농성장을 방문해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과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25일 취임 후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을 찾아 간담회를 여는 등 노동계와의 소통에 본격 나섰다. 재계를 만난 다음날 곧바로 노동계와의 접촉에 나선 모습이다.
최근 노동계의 반발을 불러온 ‘노란봉투법'(노조법 2·3조 개정안) 정부안을 두고 김 장관은 “입장을 정돈해보겠다”고 밝히며 대화의 여지를 열었다.한국노총 김동명 위원장은 노란봉투법 정부안을 비판했다. 그는 간담회 모두발언에서 “과거 두 차례나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던 법안보다 전반적으로 후퇴된 내용의 고용부 제시안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하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그러면서 “하청노동자 등 간접고용 노동자와 특수고용직·플랫폼 노동자와 같은 비정형 노동자를 보호하고, 거액의 손해배상을 당할 수 있다는 압박에서부터 벗어나 자유롭게 노조활동을 할 수 있게 하자는 당초 취지가 훼손되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안에는 시행 1년 유예, 사용자 범위 규정 미비 등 논란의 소지가 다분하다는 지적이다.이에 김 장관은 “일부 언론에서 그런 보도가 있어서 큰 우려를 말씀하신 것으로 알고 있다”며 “그 말씀의 취지를 살려, 공식적인 당정협의가 개최된다면 그동안 저희들이 수렴했던 여러 의견과 전문가 의견 등을 바탕으로 현재 입장을 정돈해보겠다”고 답했다.정책 협약 이행에 대해서도 김 장관은 “주권자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일하는 사람’을 대변해온 노총의 요구야말로 일각에서 말하는 청구서가 아니라 일하는 사람을 대변한 정치적 요구라고 생각한다”며 “그런 차원에서 지난 대선에서 한국노총과 이재명 후보가 맺었던 정책협약은 반드시 하나씩 실현해 나가야 한다. 작은 것부터 하나씩 실천하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김 장관은 한국노총 방문 직후 세종호텔 고공농성장을 찾아, 해고 철회를 요구하며 163일째 농성 중인 고진수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세종호텔지부장을 면담한다. 이어 현장 간담회에서 민주노총 관계자들과 대화하며 농성 종료와 해결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26일에는 구미 한국옵티칼하이테크 고공농성장도 찾는다. 이곳에선 박정혜 수석부지회장이 고용승계를 요구하며 560일이 넘게 고공농성을 이어가고 있다. 김 장관은 앞으로도 직접적인 소통을 계속 이어갈 방침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