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넥스페리아 홈페이지 갈무리 *재판매 및 DB 금지
이재준 기자 = 네덜란드 반도체 제조사 넥스페리아의 중국법인은 모회사의 웨이퍼 공급 중단에도 “완제품과 반제품의 충분한 재고를 확보하고 있으며 공급망은 안정적”이라고 밝혔다고 연합보와 중국시보, 재련사(財聯社) 등이 3일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넥스페트리아 중국법인은 전날 성명을 통해 “이미 충분한 완제품 및 재공품 재고를 쌓아놓아 연말까지, 더 나아가 그 이후까지 고객 주문을 안정적으로 충족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앞서 넥스페리아는 10월26일부로 중국 둥관(東莞)에 있는 조립·테스트 공장(ATGD)에 대한 웨이퍼 공급을 정지했다.
당시 회사 측은 “현지 경영진이 계약상 합의된 대금 지급 조건을 지키지 않았다”는 점을 조치 이유로 들었다.
중국법인은 성명에서 이 같은 조치를 “일방적이며 극히 무책임한 행위”라고 비판했다. 또한 중국법인은 모회사의 주장에 대해 “사실과 다르고 기만적”이라며 “중국 측은 계약 위반이 없으며 오히려 네덜란드 본사가 ATGD에 지급해야 할 대금 10억 위안(약 2010억원)을 미루고 있다”고 반박했다.
성명은 “모회사가 고객 이익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공급을 끊은 건 상거래 원칙과 계약정신을 정면으로 위반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중국법인은 “공급망의 장기적 안정성을 위해 복수의 대체 웨이퍼 공급선을 검증 중이며 내년 초부터 무리 없이 생산을 이어갈 자신이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 9월30일 네덜란드 정부는 넥스페리아 소유사이던 중국 윙텍(Wingtech 聞泰科技)의 글로벌 경영권을 ‘국가안보 우려’를 이유로 일시 박탈했다.
윙텍은 “현재 넥스페리아의 경영 의사결정 체계가 제한된 상태지만 일상적인 영업 활동은 계속되고 있으며 자회사로부터 경제적 수익권은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넥스페리아 사태의 배경에는 미국 정부가 9월 말 발표한 ‘수출통제 관통 규정(50% rule)’이 있다. 규정은 미국의 제재 대상 기업이 50% 이상 지분을 보유한 해외 자회사에도 동일한 수출 제한을 적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10월12일 네덜란드 정부는 윙텍이 보유한 넥스페리아의 경영권이 안보상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며 직접 통제·관리하기로 결정했다.
그러자 이에 반발한 중국 상무부는 중국 내에서 다루는 특정 부품과 모듈에 대해 출하와 수출을 금지하는 조치를 내려 관련 제품을 쓰는 글로벌 자동차산업에 비상이 걸렸다.
다만 사태는 지금에는 완화 국면에 접어들었다. 중국 상무부는 10월30일 공표한 미중 무역협상 합의 결과에서 “미국이 9월29일 발표한 50% 관통 규정의 시행을 1년간 유예하고 중국 역시 10월 9일 발표한 관련 수출 통제 조치를 1년간 정지한다”고 밝혔다.
이후 중국 상무부는 홈페이지를 통해 “국내외 공급망의 안전과 안정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조건을 충족하는 넥스페리아 제품의 수출은 예외적으로 허용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상무부는 또 “실제 경영상 어려움을 겪는 기업은 중앙 또는 지방 상무 당국에 신속히 연락하라”며 “네덜란드 정부의 기업 내부 문제 개입이 글로벌 공급망 혼란을 초래했다”는 입장도 재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