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김근수 기자 =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30일 서울 서초구 드림플러스 강남에서 열린 ‘금융감독원장-가상자산사업자 CEO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5.09.30.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최홍 이지영 기자 =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가상자산사업자의 과도한 이벤트, 고위험 상품 출시와 관련해 이용자보호를 강조했다.
이 원장은 30일 서울 강남 닥사(DAXA) 컨퍼런스룸에서 가상자산사업자 최고경영자(CEO)들과 간담회를 갖고 이같이 밝혔다.
간담회에는 두나무, 코빗, 코인원, 스트리미, 돌핀, 바우맨, 포블게이트, 한국디지털에셋, 한국디지털자산수탁, 디에스알브이랩스 등이 참석했다.
이 원장은 “가상자산은 자산 토큰화, 스테이블코인 등 혁신을 기반으로 글로벌 금융·경제 전반에 영향력을 넓혀가고 있다”며 “새 정부의 디지털자산 생태계 구축 정책과 맞물려 앞으로도 큰 폭의 성장이 기대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이런 성장과 발전은 이용자를 단순한 이익 창출의 대상이 아닌 상생과 성장을 위한 파트너로 존중할 때만 지속 가능할 수 있다”며 “가상자산이 제도권 금융상품과 어깨를 나란히 하기 위해서는 이용자 중심의 책임 경영을 확립해야 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과도한 이벤트, 고위험 상품 출시 등 단기 실적에만 몰두한 왜곡된 경쟁으로 이용자의 신뢰를 잃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라며 “이용자 시각에서 신뢰할 수 있는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모두가 함께 성장하는 길임을 명심해달라”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취약점이 보안사고로 확대된다면 최근 통신사나 금융회사 사례에서 보듯 많은 국민들이 심각한 피해를 입을 수 있다”면서 “가상자산사업자의 경쟁력은 무엇보다 IT 안전성에 그 뿌리를 둬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싶다”고 밝혔다.
또 “정부는 자본시장 불공정거래 근절을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다”며 “공정성과 투명성은 시장의 근간이 되는 것으로 가상자산 시장도 예외일 수 없다”고 부연했다.
그는 “시장감시 조직·인력 확충, 이상거래 적출 시스템 투자 확대 등 자체적인 시장감시 기능 강화에 전사적인 노력을 기울여달라”며 “금감원도 불공정거래 이익을 철저히 환수하고 AI·온체인 분석 등 감시 체계를 고도화하는 등 이용자 보호 강화를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금융·실물경제와의 연계 확대에 따른 리스크 관리도 당부했다.
이 원장은 “스테이블코인, 가상자산 ETF 등 금융·실물경제와의 연계 확대로 가상자산 시장의 작은 충격이 금융·실물경제에 불안을 초래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선제적 관리가 필요하다”며 “스테이블코인 등 새로운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파급효과를 사전에 면밀히 분석하고, 시장 급변 등 예상치 못한 충격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춰달라”고 말했다.
이에 가상자산사업자 CEO들은 우리나라가 글로벌 디지털자산의 허브로 도약할 수 있도록 이용자 보호를 경영의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면서 이를 위해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등 관련 법령을 준수하고, 금융당국과 긴밀히 협조하겠다고 답했다.
아울러 가상자산 사업자들은 글로벌 경쟁력과 이용자 편익을 제고하면서도 공정한 경쟁이 이뤄질 수 있는 규율체계를 마련해달라는 건의사항을 금융당국에 전달했다.
가상자산 업계 관계자는 “금융당국에 법인투자 허용과 함께 현물 상장지수펀드(ETF)를 조속히 도입해달라고 요청했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 배석자 명단에는 국내 2위 거래소 ‘빗썸’이 빠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