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 제공쌀 수급 안정을 위한 전략작물직불이 대폭 확대되고 농어촌 기본소득시범사업이 도입되는 등 농림축산식품부의 내년 사업과 예산의 윤곽이 나왔다.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2026년 예산안을 20조 350억원 규모로 편성했다고 밝혔다. 이는 올해 예산안 18조 7천416억원에 비해 6.9%(1조 2천934억원) 증가한 것으로, 사상 처음으로 20조원을 넘었다. 식량안보 및 유통구조 혁신에 1조 5천409억 투입쌀 수급 안정과 식량자급률 제고를 위해 전략작물직불을 2천440억원에서 4천196억원으로 대폭 확대한다. 지원면적은 17만6천ha에서 20만5천ha로 늘어난다. 소비 기반 확대를 위해 쌀 자조금(29억원)을 신규 도입하고 밀·콩 등 전략작물 생산 확대에 맞춰 소비 활성화 지원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작물산업화에 564억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콩 비축도 3만톤에서 6톤으로 확대해 관련 예산이 1천532억 원에서 3천150억 원으로 늘었다. 온라인도매시장 활성화를 위해 참여자를 대상으로 산지 직배송, 마케팅 등 맞춤형 바우처를 186억원 신규 지원하고 출하·정산자금 지원도 확대 600억원에서 1천억 원으로 늘린다. 직장인들의 식사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산단근로자, 중소기업 직장인 5만 4천명에게 월 4만원 상당의 식비를 지원하는 ‘직장인을 위한 든든한 한끼’ 사업을 도입하는데 79억원이 배정됐다. 또 1~2학년 늘봄학교 초등학생 대상 과일간식 지원에 169억원이 투입된다.농어촌기본소득 신규도입 등 균형성장 선도에 5천253억 지원농촌 주민들의 기본적인 삶을 보장하기 위해 1703억원이 투입돼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이 추진된다. 농어촌 인구감소지역 군(69개) 가운데 소멸 위기 극복의지가 높은 6개 군을 공모, 선정해 약 24만 명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월 15만원을 지역화폐로 지급할 계획이다. 농촌이 국가 균형성장과 에너지 전환을 선도할 수 있도록 농촌공간 정비를 확대하는데 1천 519억원이 지원된다. 쾌적한 농어촌을 만들기 위해 농어촌지역에 방치된 영농폐기물 등을 수거하는 농촌대청소사업이 68억원이 배정돼 신규 추진된다.농가소득 안정 위한 국가 책임 강화·농업 세대전환 촉진에 2조 4천135억 편성농가 소득안정·농업 세대전환 촉진에 2조 4천135억 지원농가 소득안전망과 재해에 대해 국가책임을 강화하기 위해 수입안정보험에 674억원 늘어난 2천752억 원이 투입되고 재해대책비는 1천600억 원에서 2천500억 원으로 대폭 확대한다. 청년농을 위한 공공임대용 농지 매입을 2천500ha에서 4,200ha로 늘려 관련 예산도 9천625억 원에서 1조 6천170억원으로 확대된다.
청년농이 창업 초기 희망 농지를 임차하고 향후 매입할 수 있는 선임대·후매도 방식의 농지 예산도 193억 원에서 네 배 정도 770억 원으로 늘어난다. AI 기반 농업의 스마트화·농식품산업 촉진에 5천253억 투입농업 분야 AI 생태계 조성을 위해 705억원이 투입돼 민관 합동투자 방식(특수목적법인 설립)의 국가 농업 AX 플랫폼을 조성한다. 이를 통해 AI·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선도적 스마트농업·축산, 전후방산업 등에 집중 투자한다. 농식품 R&D예산은 AI, 기후위기 대응, 바이오 분야를 중심으로 2천267억원에서 2천612억 원으로 늘리고 AI 기술을 응용한 농산업 제품의 신속한 상용화를 신규 지원하는데 30개 업체를 대상으로 675억원이 투입된다. 스마트농업 혁신 등을 위한 펀드도 1천억원 규모로 결성한다. 또 동물복지에 대한 인식 수준을 높이기 위해 ‘동물보호의 날’과 연계한 인식 개선과 미래세대 교육에 26억원을 지원하고 동물보호시설 환경개선을 지속하는데 12억원을 투입해 보호동물에 대한 복지 수준을 높인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예산안에 모두가 잘사는 균형성장을 뒷받침하고 농업을 식량안보를 지키는 국가 전략산업으로 육성하는 등 새정부 핵심과제를 실천해 조기에 성과를 창출하기 위한 예산을 충실히 편성했다”며 “국회에 제출된 2026년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안이 최대한 확보·보완 될 수 있도록 국회 심의단계에서 적극 노력할 계획이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