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황준선 기자 = 4일 서울 송파구의 한 부동산 밀집 상가가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5.07.04.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박성환 기자 = “대출 규제 시행 이후 한 건의 거래도 없어요.”
지난 27일 서울 동작구 흑석동 흑석한강푸르지오 단지 내 한 공인중개업소 대표는 “거래 문의 자체가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표는 “전세나 월세 등 계약 연장 외에는 매매 거래가 없다”며 “사실상 개점 휴업이나 마찬가지”라고 전했다.
수도권·규제지역 내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최대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는 6·27 대출 규제 이후 서울 아파트 거래절벽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매도·매수자 모두 관망세가 짙어지면서 주택시장이 잔뜩 움츠려 있다.
대출 규제 강화 이후 우려했던 거래절벽 현상은 통계로 확인된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이날 기준으로 지난 6월 1만2070건으로 정점을 찍은 뒤 7월 4364건으로 급감했다. 이달 거래 건수는 1848건으로 집계됐다. 아직 신고 기한(30일)이 남아 있어 최종적으로 2000건 안팎으로 예상된다.
또 지난 7월 서울의 주택 매수심리가 전국에서 가장 큰 폭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연구원 부동산시장정책연구센터가 지난 18일 발표한 ‘7월 부동산 시장 소비자 심리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주택 매매 소비심리지수는 전월 대비 33p(포인트) 하락한 117.3으로 집계됐다.
부동산 소비자심리지수는 부동산 중개업소와 일반 가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해 소비자의 행태 변화 및 인지 수준을 0~200의 숫자로 수치화한 것이다. 수치가 95 미만이면 하강 국면, 95~115 미만이면 보합, 115 이상이면 상승 국면으로 구분한다.
서울의 주택 매매 소비 심리는 지난해 12월 부동산시장 위축과 비상계엄 사태로 107.7까지 급감했다. 이후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발표로 1월 110.4로 반등했다. 이어 토허제 해제 이후 2월 124.7, 3월 136.1로 3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4월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와 용산구로 토허제가 확대 재지정되면서 120.5로 하락했다. 하지만 5월 131.5, 6월 150.3으로 치솟았다. 지난 6월은 새 정부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집값 급등기인 2020년 7월(155.5)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한 바 있다.
주택시장에선 당분간 거래절벽 현상이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고강도 대출 규제와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는 데다, 이재명 정부의 주택 공급 대책과 추가 금리 인하 여부 등 불확실성이 여전하기 때문이다.
권대중 서강대 일반대학원 부동산학과 교수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급감한 것은 정상적인 실수요자까지 거래 나서지 않고, 시장을 관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정부의 고강도 대출 규제와 고금리 기조 등이 겹친 상황에서 주택 공급 대책과 금리 인하 여부 등 불확실성이 해소되기 전까지 관망세가 계속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