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11월 12일 오후 서울 에이티(aT)센터에서 2025년 제6차 농산물수급조절위원회를 개최했다. 농식품부 제공정부가 김장철을 맞아 안정적인 김장채소 공급을 지속 추진해 김장 물가 안정에 주력하기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11월 12일 오후 서울 에이티(aT)센터에서 2025년 제6차 농산물수급조절위원회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김장철을 맞아 배추·무 등 주요 김장재료의 수급상황을 점검하고 안정적 공급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작황이 부진한 배추 공급을 위해 정부 비축물량과 계약재배 물량 활용에 대해 집중적으로 의견을 나눴다. 또 개정된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농안법)이 2026년 8월 시행됨에 따라 법정위원회로 격상되는 농산물수급조절위원회의 기능 확대에 대한 시행계획을 논의했다. 특히 개정 농안법에 따라 수립해야 하는 농산물수급계획 등 심의 사항에 대한 의견을 수렴했다. 농식품부는 올해 김장재료 가격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0% 이상 낮은 수준이며 주재료인 배추와 무 재배면적이 증가해 김장성수기인 11월 중순부터 12월 상순까지 공급 차질은 없을 전망이지만 가을철 잦은 비로 작황이 일부 부진한 상황에서 기온 하락 폭이 커질 경우 출하가 지연되는 등 수급 상황이 급변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김장재료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배추·무 4만7천 톤 등 정부 가용물량을 분산 공급하고 역대 최대 규모인 500억 원을 투입해 김장재료에 대한 할인을 추진하고 있다.한편 농산물수급조절위원회는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8조에 따라 생산자와 소비자 등 이해관계자와 함께 농산물 수급정책을 논의하는 농식품부 장관의 자문기구이다. 농식품부 박정훈 식량정책실장은 “수급조절위원회를 적극 활용해 현장 의견을 충실히 반영하고 현재의 안정된 농산물 공급이 지속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